본문 바로가기
Projects(~2023)

<2021 해커톤~> #0. Sejong maps : 제작기

by 가으더 2021. 11. 6.
728x90

1. 서론

여름방학부터 꾸준히 배우던 웹을 써볼 기회는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 해커톤이 열리면서 같이 공부를 해왔던 사람에 웹을 평소 공부하던 선배와 같이 참가하게 되었다.

우리 학교 해커톤은 주제를 사전에 공지를 해주었고,

웹밖에 다룰 수 없던 우리는 '20/21학번을 위한 세종캠퍼스 소개'가 가장 적합할 것 같아 선택했다.

 

관련 설명은 깃허브 readme를 찍어서 올리겠다.

2. 본론

1) 목차

본론이지만 사실 제대로 설명할 부분은 다음에 쓸 것이다.

여기선 목차를 써서 링크를 걸어두어 보기 쉽게 만드려고 한다.

 

#0. Sejong maps: 제작기

-> 서론 및 제작 과정

https://yh4752.tistory.com/53

 

<2021 해커톤~> #0. Sejong maps : 제작기

1. 서론 여름방학부터 꾸준히 배우던 웹을 써볼 기회는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 해커톤이 열리면서 같이 공부를 해왔던 사람에 웹을 평소 공부하던 선배와 같이 참가하게 되었다.

yh4752.tistory.com

 

#1. Sejong maps: 메인 컨텐츠 (1)

-> 티쳐블 머신과 이를 활용한 컨텐츠

https://yh4752.tistory.com/54

 

<2021 해커톤~> #1. Sejong maps: 메인 컨텐츠 (1)

1. 서론 여기서 쓸 내용들은 앞서 #0 에서 썼지만, 다시 말하자면 '티쳐블 머신과 이를 활용한 컨텐츠'이다. 아직 인공지능의 ㅇ자도 모르는 우리가 쓸 수 있는 인공지능이라곤 티쳐블 머신 뿐이

yh4752.tistory.com

 

#2. Sejong maps: 메인 컨텐츠 (2)

-> 맵 api를 활용한 지도 보기 컨텐츠

https://yh4752.tistory.com/55

 

<2021 해커톤~> #2. Sejong maps: 메인 컨텐츠 (2)

1. 서론 이번에 쓰는 메인 컨텐츠는 카카오의 맵 API를 활용해 '지도 보기' 라는 컨텐츠를 만들었다. '지도 보기'는 위에서 볼 수 있는 지도와 건물에 마커를 표시하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

yh4752.tistory.com

 

#3. Sejong maps: 세부 컨텐츠 (1)

-> 정보들을 제공해주는 세부 컨텐츠

https://yh4752.tistory.com/56

 

<2021 해커톤~> #3. Sejong maps: 세부 컨텐츠 (1)

1. 서론 세부 컨텐츠는 네비게이션 바를 만들어 거기에 추가하기로 했다. 학교 관련한 정보들을 제공해주는 컨텐츠를 만들기로 하였고, '세종 오는 길', '세종 꿀팁'으로 나누어서 제작했다. 2. 네

yh4752.tistory.com

 

#4. Sejong maps: 세부 컨텐츠 (2)

-> 외부 기능을 가져온 방명록

https://yh4752.tistory.com/57

 

<2021 해커톤~> #4. Sejong maps: 세부 컨텐츠 (2)

1. 서론 마지막 세부 컨텐츠는 방명록이다. nodejs와 db를 활용하면 만들 수 있겠지만, 아직 그 부분까진 공부할 시간이 없었기에 오픈 소스를 활용하게 되었다. 2. '롤링페이퍼' 그래서 '롤링페이퍼

yh4752.tistory.com

 

#5. Sejong maps: 처음 써본 NodeJs

-> nodejs 어떻게 썼나

https://yh4752.tistory.com/58

 

<2021 해커톤~> #5. Sejong maps: 처음 써본 NodeJs

1. 서론 개강을 하고서 세웠던 가장 큰 목표는 NodeJS를 공부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리저리 바쁘다는 핑계로 많이 공부하진 못했는데, 이번 해커톤이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미숙하지만 NodeJs

yh4752.tistory.com

#6 Sejong maps: 마무리

-> 최종 결과 및 느낀 점, 아쉬운 점

https://yh4752.tistory.com/59

 

<2021 해커톤~> #6 Sejong maps: 마무리

1. 서론 사이트에 관한 설명은 다 했다. 이제 최종 결과 및 느낀 점, 아쉬운 점을 소개하려고 한다. 2. 사이트 넷트리파이에 연결할 것이고, 곧 올리도록 하겠다. 3. 아쉬운 점, 느낀점 해커톤 전에

yh4752.tistory.com

 

2) 제작 과정

1. 해커톤 전

웹을 모두 마스터하지 못했기에 각자 공부를 해오기로 했다.

미리 주제를 준 만큼 혹여나 미리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도 미리 만들고 싶었지만, 막상 시간이 없어서 그냥 해커톤 당일날부터 시작했다.

 

2. 해커톤 ing

아침부터 밤까지 계속 노트북만 봤고 기가 빨렸다.

그래도 그 시간 동안 배운 것들이 며칠간 공부했던 양들보다 더 많았고,

복습도 확실히 됐었기에 많은 도움이 됐다.

특히 nodejs를 실제로 처음 써보게 되었는데 감이 1도 안오던 nodejs가 이젠 감이 조금 잡혔다.

그렇기에 더욱 재밌게 느껴졌고, 백엔드가 나와 맞다는 것도 깨달아 진로 설정에 도움을 줬다.

 

3. 해커톤 이후로

우리 팀이 공부를 하면서 코드를 작성했기 때문에 미완성한 부분이나 버그가 많았다.

그래도 하루 동안 쏟아부운 것을 이대로 놔두기엔 아깝다고 느껴서

꾸준히 수정할 것들은 수정하고 더할 부분을 더했고, 

해커톤이 끝나고 한달이 지난 지금 다 완성을 하게 되었다.

 

3. 마무리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가소로워 보일 수도 있는 웹사이트이지만,

나에겐 많은 것을 배우게 하고, 특히 협업이란 것을 배울 수 있게 되었다.

개인 공부는 언제나 할 수 있지만 이런 해커톤이나 공모전를 통한 협업 능력은 쉽게 배우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매우 좋은 경험이었고, 블로그를 쓰면서내가 느꼈던 것, 배웠던 것을 공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