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smarcle 동아리에서 진행한 python-week 프로젝트가 여름방학이었는데, 3달이 지난 지금 쓰게 되었다.
매우 늦었지만 그래도 첫 인공지능에 파이썬을 활용한 프로젝트라 꼭 써야겠다고 다짐 했고, 오늘이 되었다.
<동물상 분류>
남자는 곰상, 공룡상, 토끼상, 고양이상, 강아지상으로 구분했고,
여자는 토끼상, 여우상, 고양이상, 강아지상, 사슴상으로 구분했다.
얼굴 데이터를 얻기 위해선 유명한 동물상 연예인들의 사진이 필요했고,
이를 위해 크롤링을 하였다. 여기서 파이썬을 썼다.
-크롤링
외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코드 몇줄만으로 사진들을 크롤링해오는 것이 너무 신기했다.
같이 했던 팀원은 셀레니움을 통해 했는데, 여러 방법으로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렸다.
-분류 모델 만들기
인공지능에 ㅇ자도 모르는 나에게 유일한 수단은 티쳐블머신이다. 이것을 통해 크롤링한 사진들로 분류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동물상 별 MBTI 분류>
각자 동물상을 맡아서 크롤링을 했는데, 거기에 더불어 MBTI별로 구분을 하였다. 공룡같은 경우는 실제로 mbti별로 구분 되어있는 자료가 있어서 참고했지만, 없는 동물들이 더 많았다. 그래서 랜덤으로 배정하였다.
<코딩>
이 python-week라는 프로그램이 긴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고, 일주일밖에 없었다.
그렇기에 공부하고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일주일을 꽉꽉 담아서 활용했다.
앞서 한말은 이제 외부 코드들을 많이 활용했다는 변명을 한 것이다.
메인 페이지는 조코딩님의 동물상 테스트 페이지 코드를 활용했다.
우린 동물상 결과가 나오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결과에 맞춰서 mbti 테스트 창이 떠야한다.
그래서 티쳐블머신에 가져온 코드를 활용해 내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써서 그 결과에 맞춰서 mbti 테스트로 이동시키게 코드를 짰다.
그리고 나오는 허접한 mbti 테스트.
하지만 이것도 조코딩님의 강의를 따라서 만든 것이다.
좀 더 이쁘게 만들고 싶었지만 시간은 부족했고,
흥미로웠던 것은 jquery로 버튼을 누를 때 값을 올리고, 값에 따라 나오는 내용을 결정하는데
이런 과정을 해볼 수 있다는 것이 좋은 경험이었다.
<느낀점>
당시 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쓴 느낀점이다.
이번 파이썬 위크를 통해 파이썬에 관한 시야가 조금 넓어지고, 이번 크롤링을 하면서 코드 몇 줄만으로 원하는 데이터들을 얻는 것을 보고 좀 더 활용해보고자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이번 방학 때 웹을 공부하고 있는데 이번 계기로 파이썬과 웹을 합쳐서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고 싶다.
현재 다시 블로그를 쓰면서 되돌아보면 아쉬운 점이나 개선점들이 더 많이 보이는 것 같다.
요즘 다양한 것들을 접해보면서 더 성장하고 싶은 욕구는 커지는데
그 준비과정에 대한 막막함 때문에 성장이 더딘 것 같다.
그래도 이것도 하나의 성장 과정이고, 파이썬, 웹들을 잘 다져서 같은 주제로 더 좋은 퀄리티를 만들고 싶다.
제작 github
https://github.com/yh4752/face_type_to_mbti
GitHub - yh4752/face_type_to_mbti
Contribute to yh4752/face_type_to_mbt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Projects(~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해커톤~> #2. Sejong maps: 메인 컨텐츠 (2) (1) | 2021.11.07 |
---|---|
<2021 해커톤~> #1. Sejong maps: 메인 컨텐츠 (1) (1) | 2021.11.06 |
<2021 해커톤~> #0. Sejong maps : 제작기 (1) | 2021.11.06 |
<파이썬 + 프론트엔드> #0. '얼굴상 MBTI 테스트' 계획, 준비하기 (0) | 2021.08.07 |
<HTML, CSS> 코코아톡 클론 코딩 졸업작품 제작(with figma, github) (3)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