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서버 개요
클라이언트 - 서버 관계
1) 서버 : 클라이언트 => 1 : N
홀알바 → 다수의 손님 ⇒ 1 : N 의 관계
홀알바를 서버로 대입하면
서버 →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임
2) 상대적인 관계
홀알바 → 발주사: 홀알바가 발주사에게 요청을 하므로, 홀알바는 클라이언트가 됨
⇒ 상대적인 관계
서버의 동작 방식과 순서(요청이 들어왔을 때 서비스가 어떻게 처리되는가?)
서버 구성
손님(주문 요청) → 홀알바 → 주방장 → 냉장고 ↩️(되돌아가기)
컴퓨터로 반영해보기
클라이언트(web, 안드로이드...)
→ 서버(Apache, Ngnix)
→ 백엔드 언어 php spring, nodejs
→ DB, DBMS(mysql, oracle, mongo db)
2. APM
A(Apache) : 웹서버
P(PHP) : 웹 프로그래밍 언어
M(Mysql) : 데이터베이스
→ APM이란 위 세가지가 연동되어 운영되도록 연동되어 운영되도록 만든 환경
3. 실습
1) Local 환경에 APM 설치하기 -> 비트나미
2) 리눅스 사용하기 ->Virtual Box
4. 챌린지
1) 가상 머신 설치하기
2) 가상 머신에 리눅스 계열 OS 설치하여 실행하기
3) 리눅스에 APM 소스(수동, 컴파일) 실행하기
5. 느낀점
서버라는게 범위도 넓고 알아야한다는 것은 알았지만, 생각보다 더 많이 넓은 곳인 것 같다. vi를 다루고, 커맨드 창에서만 글을 쓰면서 GUI의 편리함을 새삼 느꼈다.